“ ‘통일 필요’ 한국인 78% ...2018년 이후 최고치”
앵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남북통일 관련 여론조사 결과,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한국 국민이 78%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78.3%가 통일 필요성을 동의했던 2018년 3분기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서울에서 한도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가 31일 공개한 ‘국민 통일여론조사’ 결과.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9.9%는 ‘매우 필요하다’, 38.1%는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응답자의 78.0%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입니다.
지난해 12월 4분기 조사에서는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64.0%에 그치며 2015년 조사 시작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는데, 약 반 년 이후 14%포인트 반등한 것입니다.
특히 이번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 78.0%은 통일 필요성에 대해 78.3%가 동의했던 2018년 3분기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통일의 이유’로 ‘전쟁 위협의 해소’를 꼽는 비율이 가장 높은 현상은 2023년 2분기 조사 이후 이번 조사에서도 지속됐습니다. ‘통일을 해야 한다면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묻는 질문에 응답자 34.9%가 ‘전쟁 위협의 해소’를 꼽았고, 23.3%가 ‘경제발전’, 17.0%가 ‘자유와 인권 실현’, 15.0%가 ‘민족의 동질성 회복’을 꼽았습니다.
이와 함께 한반도의 안보상황이 ‘불안정하다’고 평가하는 경향이 이어졌습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7.7%는 현재 안보 상황을 ‘불안정하다’고 평가했고 ‘안정적이다’라고 평가한 국민은 41.6%에 그쳤습니다.
지난 1분기 조사와 비교하면 안보 상황이 ‘불안정하다’는 응답은 1.6%포인트 증가하며, ‘안정적이다’는 응답과 격차를 벌렸습니다.
다만 북한을 ‘경계·적대 대상’으로 보는 인식(43.4%)만큼이나 ‘협력·지원 대상’으로 보는 인식(46.2%)도 많았습니다. 응답자의 32.8%는 북한을 ‘협력 대상’으로 보았고, 21.9%는 ‘적대 대상’, 21.5%는 ‘경계 대상’, 13.4%는 ‘지원 대상’으로 인식했습니다.
통일에 있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가치를 복수로 선택하도록 하자, 응답자의 59.2%는 ‘평화’를, 52.2%는 ‘자유’를 꼽았습니다. 다음으로는 ‘인권’(33.9%), ‘민주’(21.3%), ‘번영’(20.2%) 순이었습니다.
유영백 민주평통 전문위원은 1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률이 최근 높아진 것과 관련해 한국 정부가 지난해 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적대적 두 국가’ 선언 이후, 통일에 대한 의지를 더욱 강하게 표명해온 데 이유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통일의 이유’에 대해 ‘전쟁 위협의 해소’를 꼽는 비율이 가장 높은 현상은 이번 조사에서도 이어졌다. / 민주평통 ‘2024년 2분기 통일여론·동향 보고서’ 발췌
유영백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전문위원: 북한 김정은 정권이 두 국가 체제로 가겠다고 공언을 하지 않았습니까? 이에 대해 우리 정부가 우리는 그럴 수 없다. 우리는 한민족, 단일민족이고 통일을 해야 한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데 대한 국민적 호응이랄까, 생각을 다시 하는 계기가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유 전문위원은 응답자들이 ‘전쟁 위협의 해소’를 통일의 이유로 가장 많이 꼽은 것에 대해서는 남북 관계가 경색되어있는 상황에서 통일이 되면 전쟁 위협도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했고, “젊은 세대일수록 ‘민족 개념’보다는 현실적인 이유를 찾는 경향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통일 필요하다” 한국인 64%...역대 최저치
“통일 필요” 한국 초중고 학생 49%...처음으로 절반 못미쳐
한편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81.2%는 북한 납북자, 억류자의 존재를 인지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응답자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납북자와 억류자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습니다.
‘탈북민과 함께 어울려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정책’에 대해 묻자, 응답자 26.7%는 ‘성공적으로 정착한 탈북민 사례 확산’이 한국 사회에 필요하다고 답했고, 22.5%는 ‘이질적 문화 격차 극복’을, 21.7%는 ‘탈북민 대상 멘토링 프로그램 추진’을 꼽았습니다.
이번 민주평통 ‘국민 통일여론조사’는 6월 7~9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신뢰수준 95%에서 ±3.1%포인트입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편집 김상일
앵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남북통일 관련 여론조사 결과,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한국 국민이 78%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78.3%가 통일 필요성을 동의했던 2018년 3분기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서울에서 한도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가 31일 공개한 ‘국민 통일여론조사’ 결과.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9.9%는 ‘매우 필요하다’, 38.1%는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응답자의 78.0%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입니다.
지난해 12월 4분기 조사에서는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64.0%에 그치며 2015년 조사 시작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는데, 약 반 년 이후 14%포인트 반등한 것입니다.
특히 이번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 78.0%은 통일 필요성에 대해 78.3%가 동의했던 2018년 3분기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통일의 이유’로 ‘전쟁 위협의 해소’를 꼽는 비율이 가장 높은 현상은 2023년 2분기 조사 이후 이번 조사에서도 지속됐습니다. ‘통일을 해야 한다면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묻는 질문에 응답자 34.9%가 ‘전쟁 위협의 해소’를 꼽았고, 23.3%가 ‘경제발전’, 17.0%가 ‘자유와 인권 실현’, 15.0%가 ‘민족의 동질성 회복’을 꼽았습니다.
이와 함께 한반도의 안보상황이 ‘불안정하다’고 평가하는 경향이 이어졌습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7.7%는 현재 안보 상황을 ‘불안정하다’고 평가했고 ‘안정적이다’라고 평가한 국민은 41.6%에 그쳤습니다.
지난 1분기 조사와 비교하면 안보 상황이 ‘불안정하다’는 응답은 1.6%포인트 증가하며, ‘안정적이다’는 응답과 격차를 벌렸습니다.
다만 북한을 ‘경계·적대 대상’으로 보는 인식(43.4%)만큼이나 ‘협력·지원 대상’으로 보는 인식(46.2%)도 많았습니다. 응답자의 32.8%는 북한을 ‘협력 대상’으로 보았고, 21.9%는 ‘적대 대상’, 21.5%는 ‘경계 대상’, 13.4%는 ‘지원 대상’으로 인식했습니다.
통일에 있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가치를 복수로 선택하도록 하자, 응답자의 59.2%는 ‘평화’를, 52.2%는 ‘자유’를 꼽았습니다. 다음으로는 ‘인권’(33.9%), ‘민주’(21.3%), ‘번영’(20.2%) 순이었습니다.
유영백 민주평통 전문위원은 1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률이 최근 높아진 것과 관련해 한국 정부가 지난해 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적대적 두 국가’ 선언 이후, 통일에 대한 의지를 더욱 강하게 표명해온 데 이유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통일의 이유’에 대해 ‘전쟁 위협의 해소’를 꼽는 비율이 가장 높은 현상은 이번 조사에서도 이어졌다. / 민주평통 ‘2024년 2분기 통일여론·동향 보고서’ 발췌
유영백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전문위원: 북한 김정은 정권이 두 국가 체제로 가겠다고 공언을 하지 않았습니까? 이에 대해 우리 정부가 우리는 그럴 수 없다. 우리는 한민족, 단일민족이고 통일을 해야 한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데 대한 국민적 호응이랄까, 생각을 다시 하는 계기가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유 전문위원은 응답자들이 ‘전쟁 위협의 해소’를 통일의 이유로 가장 많이 꼽은 것에 대해서는 남북 관계가 경색되어있는 상황에서 통일이 되면 전쟁 위협도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했고, “젊은 세대일수록 ‘민족 개념’보다는 현실적인 이유를 찾는 경향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통일 필요하다” 한국인 64%...역대 최저치
“통일 필요” 한국 초중고 학생 49%...처음으로 절반 못미쳐
한편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81.2%는 북한 납북자, 억류자의 존재를 인지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응답자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납북자와 억류자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습니다.
‘탈북민과 함께 어울려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정책’에 대해 묻자, 응답자 26.7%는 ‘성공적으로 정착한 탈북민 사례 확산’이 한국 사회에 필요하다고 답했고, 22.5%는 ‘이질적 문화 격차 극복’을, 21.7%는 ‘탈북민 대상 멘토링 프로그램 추진’을 꼽았습니다.
이번 민주평통 ‘국민 통일여론조사’는 6월 7~9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신뢰수준 95%에서 ±3.1%포인트입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편집 김상일
자유아시아방송 제공 및 저작권 소유 | RFA provided and copyrighted -www.rf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