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O “대북지원 재개 준비돼”
앵커: 북한을 방문한 유엔식량농업기구 사무총장이 농식품 부문에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전문가들은 코로나 이후 중단됐던 대북지원 재개 신호라며 환영하면서도 실효성에는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조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17일 보도자료를 내고 취둥위 사무총장이 지난 13일부터 16일까지 북한을 방문했다고 밝혔습니다.
취 사무총장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아래 농업 발전과 식량 안보에서 북한 주민들이 이룩한 성과를 높이 평가하며, 2019년 코로나 팬데믹 발생 이후 유엔 기구 대표로는 처음으로 북한을 방문하게 된 것에 감사의 마음을 전했습니다.
아울러 그는 FAO의 북한 내 활동에 대한 북한 정부의 협력과 지원에 감사를 표하고, FAO가 지속 가능한 농식품 시스템 변혁을 통해 기근을 종식하기 위한 지속가능한개발목표(SDGs)의 달성을 위한 지원을 계속할 것임을 재확인했습니다.
취 사무총장은 “우리는 더 나은 생산, 더 나은 영양, 더 나은 환경, 더 나은 삶이라는 네 가지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향한다”며 “코로나19 팬데믹, 자연재해, 기후 변화, 제재 등 여러 도전에 맞서 싸우는 북한 정부와 주민들의 노력에 찬사를 보낸다”고 밝혔습니다.
취 사무총장은 방문기간 동안 강동온실농장과 강동중앙야채연구소, 평촌 양어장 등을 방문했습니다.
그는 농업 부문 전환과 생산성, 효율성,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 혁신, 디지털화, 녹색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특히 가금류 제품, 수산 및 고효율 사료 제품의 생산을 늘리는 데 중점을 두어 육류 제품의 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또한 FAO가 더 많은 기술 전문성과 국제 경험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하며, 북한 정부가 FAO와 함께 가장 취약한 사람들을 위한 새로운 협력 및 자원 동원 기회를 모색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유럽각국 “평양복귀 위한 세부 논의 진행중”
대북 민간 단체, 기약 없는 대기에 ‘답답’
러 관광객에 국경 연 북, 국제기구 직원 입국은 ‘불허’
미국 샌디에고 캘리포티나 주립대학의 스티븐 해거드 석좌교수는 1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대북지원 재개를 기다리는 입장에서 이번 FAO 사무총장의 방북은 좋은 소식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 FAO가 다시 북한의 작물 현황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한다면 북한 경제, 특히 농업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더 잘 파악하는데 유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해거드 교수는 “실질적인 영향 측면에서 FAO가 북한의 식량상황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가능성은 낮다”며 “아마도 소규모 프로젝트와 정보 수집을 시작하는 데 그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로버트 킹 전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도 앞서 1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대북지원이 재개되더라도 큰 도움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킹 전 특사: 대북지원이 재개되더라도 시기적으로 조금 늦은 것 같습니다. 보통 인도주의적 식량 지원은 봄이나 늦은 겨울에 이뤄지기 때문입니다.
앞서 FAO는 지난 5일 발표한 ‘작황 전망과 식량 상황 보고서’를 통해 북한을 식량 부족 국가로 분류하고 외부 식량 지원이 필요한 45개국에 포함시킨 바 있습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편집 한덕인
앵커: 북한을 방문한 유엔식량농업기구 사무총장이 농식품 부문에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전문가들은 코로나 이후 중단됐던 대북지원 재개 신호라며 환영하면서도 실효성에는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조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17일 보도자료를 내고 취둥위 사무총장이 지난 13일부터 16일까지 북한을 방문했다고 밝혔습니다.
취 사무총장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아래 농업 발전과 식량 안보에서 북한 주민들이 이룩한 성과를 높이 평가하며, 2019년 코로나 팬데믹 발생 이후 유엔 기구 대표로는 처음으로 북한을 방문하게 된 것에 감사의 마음을 전했습니다.
아울러 그는 FAO의 북한 내 활동에 대한 북한 정부의 협력과 지원에 감사를 표하고, FAO가 지속 가능한 농식품 시스템 변혁을 통해 기근을 종식하기 위한 지속가능한개발목표(SDGs)의 달성을 위한 지원을 계속할 것임을 재확인했습니다.
취 사무총장은 “우리는 더 나은 생산, 더 나은 영양, 더 나은 환경, 더 나은 삶이라는 네 가지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향한다”며 “코로나19 팬데믹, 자연재해, 기후 변화, 제재 등 여러 도전에 맞서 싸우는 북한 정부와 주민들의 노력에 찬사를 보낸다”고 밝혔습니다.
취 사무총장은 방문기간 동안 강동온실농장과 강동중앙야채연구소, 평촌 양어장 등을 방문했습니다.
그는 농업 부문 전환과 생산성, 효율성,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 혁신, 디지털화, 녹색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특히 가금류 제품, 수산 및 고효율 사료 제품의 생산을 늘리는 데 중점을 두어 육류 제품의 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또한 FAO가 더 많은 기술 전문성과 국제 경험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하며, 북한 정부가 FAO와 함께 가장 취약한 사람들을 위한 새로운 협력 및 자원 동원 기회를 모색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유럽각국 “평양복귀 위한 세부 논의 진행중”
대북 민간 단체, 기약 없는 대기에 ‘답답’
러 관광객에 국경 연 북, 국제기구 직원 입국은 ‘불허’
미국 샌디에고 캘리포티나 주립대학의 스티븐 해거드 석좌교수는 1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대북지원 재개를 기다리는 입장에서 이번 FAO 사무총장의 방북은 좋은 소식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 FAO가 다시 북한의 작물 현황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한다면 북한 경제, 특히 농업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더 잘 파악하는데 유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해거드 교수는 “실질적인 영향 측면에서 FAO가 북한의 식량상황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가능성은 낮다”며 “아마도 소규모 프로젝트와 정보 수집을 시작하는 데 그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로버트 킹 전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도 앞서 1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대북지원이 재개되더라도 큰 도움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킹 전 특사: 대북지원이 재개되더라도 시기적으로 조금 늦은 것 같습니다. 보통 인도주의적 식량 지원은 봄이나 늦은 겨울에 이뤄지기 때문입니다.
앞서 FAO는 지난 5일 발표한 ‘작황 전망과 식량 상황 보고서’를 통해 북한을 식량 부족 국가로 분류하고 외부 식량 지원이 필요한 45개국에 포함시킨 바 있습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편집 한덕인
자유아시아방송 제공 및 저작권 소유 | RFA provided and copyrighted -www.rf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