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이렇습니다] 여름철은 계절적으로 농축산물 가격이 상승하는 시기지만 올해는 전·평년보다 안정된 수준 > 정책브리핑

본문 바로가기

사실은 그렇습니다.2025-06-30 16:54:00

[사실은 이렇습니다] 여름철은 계절적으로 농축산물 가격이 상승하는 시기지만 올해는 전·평년보다 안정된 수준

<보도 주요 내용>



 



  6월 30(세계일보 장마·폭염 앞 채소값 들썩물가 비상등」 기사에서 "배추 한포기 가격은 3,679원으로 지난달(3,148보다 16.87% 상승했다." 내용 등 장마와 폭염으로 채소류 가격이 상승세이고, AI 발생으로 닭고기계란 등 가격도 오를 수 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대부분 채소류는 서늘한 기후에 잘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 고온이 지속되는 여름철에는 비교적 높은 가격 수준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금년에는 채소류 가격이 전년 또는 평년보다 안정된 상황입니다.



 



  배추의 경우 6월 평균 소비자가격은 포기당 3,425원으로 전년(3,560)보다 3.8% 낮고평년(3,827)보다도 10.5% 낮은 수준입니다또한 기사에서 언급한 열무상추시금치도 전·평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열무(/kg) : (평년 6) 2,378, (전년 6) 2,484(금년 6) 2,451(평년비 3.1%전년비 1.3%)



  적상추(/100g) : (평년 6) 962, (전년 6) 906(금년 6) 927(평년비 3.6%전년비 2.3%)



  시금치(/100g) : (평년 6) 798, (전년 6) 804(금년 6) 800(평년비 0.2%전년비 0.6%)



  



  농식품부는 고온 등 여름철 이상기상 등에 대비하여 철저한 생육관리를 지원하여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할인지원 등을 통해 소비자 체감 물가를 안정시키는데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기사에서 보도한 닭고기 가격이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3.7% 올랐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릅니다지난달('25.5) 닭고기 소비자가격은 5,657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하락하였습니다.



 



  소매(5): (평년) 5,593/kg, ('24) 5,868 → ('25) 5,657(평년비 1.1%전년비 3.6%)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는 소규모 토종닭 농가에서만 발생하여 닭고기 수급 및 가격에 미치는 영향과는 관계가 없습니다한편 한국농촌경제연구원도 올 여름철 닭고기 공급량이 전·평년 수준으로 소비자가격도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한 바 있습니다.



 



  7월 닭고기 도축마릿수(KREI) : (평년) 7,393만마리, ('24) 7,435 → ('25p) 7,321~7,470



 



  더불어계란 가공품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을 통해 가공용은 수입산을 하도록 하는 등 소비를 분산하고축사시설 개선 등도 지원하여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겠습니다.



제1유형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본 저작물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20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을 이용하였으며,해당 저작물은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및 제138조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로그인 후 공감을 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