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이렇습니다]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상용화, 전용 배터리 없어도 가능” > 정책브리핑

본문 바로가기

사실은 그렇습니다.2024-12-26 18:58:00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상용화, 전용 배터리 없어도 가능”

[기사 내용]



ㅇ 배터리 문제 등에 따른 UAM 기체의 현실 구현 가능성, 경제성 떨어져 



ㅇ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사업의 성과가 제로(0)에 가까워



라고 보도했습니다.



[국토부 설명]



□ 도심항공교통 기체(e-VTOL, 전기동력 수직 이착륙기)는 별도의 전용 배터리 없이 현재 배터리 기술 수준으로도 상용화가 가능합니다.



 ㅇ 학계 및 전문기관*에 따르면, 현재 개발 중인 글로벌 선도 도심항공교통 기체는 현재의 배터리 기술 수준(용량, 충·방전 속도)으로도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초기 상용화 요구수준(평균 4명 탑승, 운항거리 20~40km, 일 11회 이상 운항)을 충분히 만족합니다.



    * “서울도심운용을 위한 eVTOL 항공기 초기 사이징(서울대학교)”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1년 춘계학술대회 발표), “UAM실증 인프라 구축사업 보고서”(한국항공우주연구원, ’22)



□ 국토부는 그간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로드맵에 기반하여 도심항공교통법 등 제도적 기반 마련, 민관합동 실증을 통한 통신·관제·플랫폼 등 운용·서비스 기술 개발·검증 등의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ㅇ 전 세계적으로 도심항공교통 기체에 대한 감항당국의 인증 지연으로 상용화 일정은 다소 순연될 수 있으나, 국토부는 학계, 업계 등과 긴밀히 협의하여 상용화 지원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문의: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자동차국 도심항공교통정책과(044-201-4302)



제1유형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본 저작물은 '국무조정실'에서 '2024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선경철)'을 이용하였으며,해당 저작물은 '국무조정실, 홈페이지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및 제138조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로그인 후 공감을 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