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아시아방송2024-03-29 03:50:00
북, 철수한 중국파견 노동자 월급 ‘돈표’로 지급
앵커: 북한 당국이 중국에서 철수한 노동자들의 임금을 현금이 아닌 돈표로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당국이 당초 약속과 달리 중국에서 철수한 노동자들의 임금을 전부 돈표로 지급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공식 화폐도 아닌 종이에 인쇄한 돈표를 받게 된 노동자들과 그 가족들은 당국의 행태에 분노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평안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 요청)은 25일 “최근 중국에 파견되었다가 소환된 노동자들의 임금문제가 주민들 속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면서 “노동자들이 중국에서 힘들게 일한 대가를 전부 돈표로 받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코로나 전에 중국에 파견된 노동자들이 6년 이상 일한 대가가 고작 일반 종이에 인쇄한 돈표였다”면서 “대부분의 노동자들이 빈손이나 다름없이 돌아온 데다 얼마 안 되는 외화마저 돈표로 받게 되자 울분을 토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 당국은 지난 2021년 코로나사태 장기화로 인민생활 향상을 위한 사업에 난관이 조성돼 현금과 같은 지위의 조선중앙은행 돈표를 발행했습니다.
또 돈표는 중앙은행권(북한 화폐)보다 다소 질이 떨어져 불편한 점이 있을 수 있지만 일정한 기간 유통하다가 중앙은행권과 1:1로 바꾸어 줄 것이라고 선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때문에 현금(북한 화폐)보다 종이 돈표는 언제든지 사용중지 될 수 있는 위험화폐로 인식되어 있다”면서 “당에서 현금처럼 제한 없이 사용하라고 강조하지만 코로나사태 장기화에 의한 임시조치라고 명시했기 때문에 불신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게다가 당국은 철수한 노동자들에게 국가가 정한 환율을 적용해 지급했다”면서 “시중 환율은 중국돈 1위안에 내화(북한돈) 1,700~1,800원인데 비해 국가공시환율은 1위안에 1,260원으로 고정돼 있어 실제로 많은 손해를 보게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일반적으로 파견 노동자의 월 임금은 2,500위안(계약 당시 기준-미화 300 달러)으로 중국 회사와 계약돼 있다”면서 “이중 국가납부금으로 3분의 2 정도를 바치고 800위안(계약 기준-미화 100달러) 정도를 노동자 임금으로 계산했는데 이마저 본사경영비, 영사부 유지비, 보험비, 각종 사회지원금, 숙식비를 제외하면 노동자들은 많게는 300위안(미화 41달러), 적게는 100위안(미화 14달러)을 생활비(월급)로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에 파견된 노동자들은 매달 임금을 회사장부에 기록하고 철수한 후 조국에서 지급할 것으로 약속돼 있었다”면서 “그런데 정작 철수하고 보니 종이에 인쇄한 돈표를 내주고 중국에서 번 외화는 단 한 푼도 주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북도의 또 다른 주민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도 27일 “최근 파견노동자들이 돈표를 받은 사실이 알려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중국에 파견될 초기 여성 노동자들은 대부분 10대 후반, 20대 초반이었다”면서 “이들은 코로나 전부터 중국회사 내에서 숙식하며 하루 14시간 이상 근 6년 간의 고된 노동에 내몰렸지만 결국은 돈표를 받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요즘도 해외파견 노동자 선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선뜻 나서는 노동자가 별로 없다”면서 “중국에서의 취약한 노동환경, 강도 높은 노동력 착취에 더해 그 대가마저 제대로 주지 않는 돈표 지급 실태가 널리 알려졌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번에 철수한 노동자 중 일부는 당국이 국가대상건설, 지방대상건설, 김일성·김정일 애도 기부금, 국방력 강화 지원비 등 각종 기부금과 지원금을 바칠 것을 선동하자 임금을 전부 바치고 한 푼도 없는 상태로 돌아왔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북한 당국이 공식 화폐 대신 돈표를 지급한 것은 해외에 파견된 수많은 노동자들이 벌어들인 외화 임금에 해당하는 화폐를 인쇄하는 데 드는 비용을 들이지 않기 위한 것이란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단은 최근 발표한 연례보고서에서 북한 노동자10만여 명이 40여개국에 파견돼 봉제, 건설, 의료, 정보, 서비스 등 분야에서 북한 당국의 수익 창출을 위해 일하고 있다는 유엔 회원국의 제보를 전한 바 있습니다.
이 중 대다수는 중국에서 근무하고 있는데 북한은 해외 거주 북한 노동자들의 송환을 위해 지난해 8월 일부 국경을 개방한 이후 해 1차로 약 3천명이 돌아간 후 현재 약 3천명을 대상으로 2차 소환이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
앵커: 북한 당국이 중국에서 철수한 노동자들의 임금을 현금이 아닌 돈표로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당국이 당초 약속과 달리 중국에서 철수한 노동자들의 임금을 전부 돈표로 지급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공식 화폐도 아닌 종이에 인쇄한 돈표를 받게 된 노동자들과 그 가족들은 당국의 행태에 분노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평안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 요청)은 25일 “최근 중국에 파견되었다가 소환된 노동자들의 임금문제가 주민들 속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면서 “노동자들이 중국에서 힘들게 일한 대가를 전부 돈표로 받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코로나 전에 중국에 파견된 노동자들이 6년 이상 일한 대가가 고작 일반 종이에 인쇄한 돈표였다”면서 “대부분의 노동자들이 빈손이나 다름없이 돌아온 데다 얼마 안 되는 외화마저 돈표로 받게 되자 울분을 토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 당국은 지난 2021년 코로나사태 장기화로 인민생활 향상을 위한 사업에 난관이 조성돼 현금과 같은 지위의 조선중앙은행 돈표를 발행했습니다.
또 돈표는 중앙은행권(북한 화폐)보다 다소 질이 떨어져 불편한 점이 있을 수 있지만 일정한 기간 유통하다가 중앙은행권과 1:1로 바꾸어 줄 것이라고 선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때문에 현금(북한 화폐)보다 종이 돈표는 언제든지 사용중지 될 수 있는 위험화폐로 인식되어 있다”면서 “당에서 현금처럼 제한 없이 사용하라고 강조하지만 코로나사태 장기화에 의한 임시조치라고 명시했기 때문에 불신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게다가 당국은 철수한 노동자들에게 국가가 정한 환율을 적용해 지급했다”면서 “시중 환율은 중국돈 1위안에 내화(북한돈) 1,700~1,800원인데 비해 국가공시환율은 1위안에 1,260원으로 고정돼 있어 실제로 많은 손해를 보게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일반적으로 파견 노동자의 월 임금은 2,500위안(계약 당시 기준-미화 300 달러)으로 중국 회사와 계약돼 있다”면서 “이중 국가납부금으로 3분의 2 정도를 바치고 800위안(계약 기준-미화 100달러) 정도를 노동자 임금으로 계산했는데 이마저 본사경영비, 영사부 유지비, 보험비, 각종 사회지원금, 숙식비를 제외하면 노동자들은 많게는 300위안(미화 41달러), 적게는 100위안(미화 14달러)을 생활비(월급)로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에 파견된 노동자들은 매달 임금을 회사장부에 기록하고 철수한 후 조국에서 지급할 것으로 약속돼 있었다”면서 “그런데 정작 철수하고 보니 종이에 인쇄한 돈표를 내주고 중국에서 번 외화는 단 한 푼도 주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북도의 또 다른 주민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도 27일 “최근 파견노동자들이 돈표를 받은 사실이 알려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중국에 파견될 초기 여성 노동자들은 대부분 10대 후반, 20대 초반이었다”면서 “이들은 코로나 전부터 중국회사 내에서 숙식하며 하루 14시간 이상 근 6년 간의 고된 노동에 내몰렸지만 결국은 돈표를 받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요즘도 해외파견 노동자 선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선뜻 나서는 노동자가 별로 없다”면서 “중국에서의 취약한 노동환경, 강도 높은 노동력 착취에 더해 그 대가마저 제대로 주지 않는 돈표 지급 실태가 널리 알려졌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번에 철수한 노동자 중 일부는 당국이 국가대상건설, 지방대상건설, 김일성·김정일 애도 기부금, 국방력 강화 지원비 등 각종 기부금과 지원금을 바칠 것을 선동하자 임금을 전부 바치고 한 푼도 없는 상태로 돌아왔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북한 당국이 공식 화폐 대신 돈표를 지급한 것은 해외에 파견된 수많은 노동자들이 벌어들인 외화 임금에 해당하는 화폐를 인쇄하는 데 드는 비용을 들이지 않기 위한 것이란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단은 최근 발표한 연례보고서에서 북한 노동자10만여 명이 40여개국에 파견돼 봉제, 건설, 의료, 정보, 서비스 등 분야에서 북한 당국의 수익 창출을 위해 일하고 있다는 유엔 회원국의 제보를 전한 바 있습니다.
이 중 대다수는 중국에서 근무하고 있는데 북한은 해외 거주 북한 노동자들의 송환을 위해 지난해 8월 일부 국경을 개방한 이후 해 1차로 약 3천명이 돌아간 후 현재 약 3천명을 대상으로 2차 소환이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로그인 후 공감을 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