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아시아방송2024-04-23 03:20:00
“북 핵실험시 ‘풍계리 붕괴’는 없을 것...식수 오염 가능성”
앵커: 북한이 7차 핵실험을 감행해도 실험장 붕괴 등이 일어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방사능 물질이 식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한국 내에서 제기됐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 22일 ‘북한의 7차 핵실험 전망과 대응방안’을 주제로 주최한 토론회.
북한이 감행할 것으로 보이는 7차 핵실험이 환경에 미칠 영향에 대한 한국 내 전문가들의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조창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은 이 자리에서 북한이 핵실험을 할 경우 그로 인해 유발되는 지진 규모가 커질 수 있다면서도, 실험장 붕괴 등의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습니다.
가장 위력적이었던 6차 핵실험의 폭발력을 150킬로톤 미만으로, 깊이를 750미터 정도로 추정할 경우 지하 핵실험 직후 지표면에 큰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영향은 없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조 센터장은 다만 지난 4~6차 핵실험 직후 여러 차례의 미소 지진, 즉 규모 2.0 이하의 작은 지진이 인근에서 활발하게 발생했다며 이는 핵실험 뒤 단층이 운동을 시작함에 따라 불안정성이 커졌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의 식수가 방사능에 오염됐을 가능성도 제기했습니다.
지하수면 아래에서 핵실험을 할 경우 폭발 뒤 발생한 빈 공간에 주변의 지하수가 유입되며, 환경에 따라 질량이 작은 원자핵 등이 주위에 누출되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게 조 센터장의 설명입니다.
조창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 일단 핵실험장에서 나온 것들이 지하수를 통해서, 강이나 물줄기를 따라 흘러갈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조 센터장은 풍계리 일대 지역의 지하수 양이 북한 전체의 2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풍부하다며, 지하수를 식수로 쓰는 가구 비율이 상당한 만큼 지역 주민들이 방사성 물질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토론회에선 여섯 차례에 걸쳐 핵실험이 실시된 풍계리 인근 지역의 암반이 이미 약해졌을 가능성과 함께 지반 붕괴나 방사능 유출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북한이 핵실험장으로 화강암 지역을 택한 사실을 언급하며, 부분적으로 단층이나 고온의 지하수 때문에 취약해진 상태일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여섯 차례나 핵실험을 하지 않았습니까? 그럼 암석이 점점 많이 깨지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점점 약해집니다. 6차 핵실험의 위력이 컸기 때문입니다.
북한인권단체인 전환기정의워킹그룹(TJWG)의 이영환 대표는 북한 당국이 인체와 환경에 핵실험이 미치는 영향을 알고도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은 것이라며, 이를 ‘에코사이드’, 즉 자연을 대규모로 파괴하는 행위로 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영환 TJWG 대표: 북한 정부는 문제의 심각성을 알면서도 지역 주민들에게 위험을 고지하거나 대피령을 내리지 않고 실험을 감행했는데 이는 의도적인 범행, 가해 행위라는 점에서 사람뿐 아니라 자연에 대한 ‘에코사이드’ 문제로 다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선거 전에 7차 핵실험을 감행할지 여부를 놓고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기도 했습니다.
이상규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이 핵무기 완성도 검증 등을 위한 기술적 필요와 대미 협상력 확보를 노리고 미국 대선 전에 핵실험을 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북한이 사실상의 핵보유국임을 인정받기 위해 오는 6월 한미 핵협의그룹(NCG) 3차회의와 미국 대선 사이에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입니다.
반면 정성윤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실장은 북한이 7차 핵실험으로 인한 역효과를 감안해 연내에 강행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정 연구실장은 북한이 핵실험을 할 경우 중국과 러시아가 국제사회의 추가 제재에 동조할 가능성이 있고, 특히 중국은 북중 접경지역 피해 우려와 역내 미·일 영향력 강화에 대한 거부감이 큰 만큼 러시아와 의견을 달리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
앵커: 북한이 7차 핵실험을 감행해도 실험장 붕괴 등이 일어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방사능 물질이 식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한국 내에서 제기됐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 22일 ‘북한의 7차 핵실험 전망과 대응방안’을 주제로 주최한 토론회.
북한이 감행할 것으로 보이는 7차 핵실험이 환경에 미칠 영향에 대한 한국 내 전문가들의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조창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은 이 자리에서 북한이 핵실험을 할 경우 그로 인해 유발되는 지진 규모가 커질 수 있다면서도, 실험장 붕괴 등의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습니다.
가장 위력적이었던 6차 핵실험의 폭발력을 150킬로톤 미만으로, 깊이를 750미터 정도로 추정할 경우 지하 핵실험 직후 지표면에 큰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영향은 없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조 센터장은 다만 지난 4~6차 핵실험 직후 여러 차례의 미소 지진, 즉 규모 2.0 이하의 작은 지진이 인근에서 활발하게 발생했다며 이는 핵실험 뒤 단층이 운동을 시작함에 따라 불안정성이 커졌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의 식수가 방사능에 오염됐을 가능성도 제기했습니다.
지하수면 아래에서 핵실험을 할 경우 폭발 뒤 발생한 빈 공간에 주변의 지하수가 유입되며, 환경에 따라 질량이 작은 원자핵 등이 주위에 누출되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게 조 센터장의 설명입니다.
조창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 일단 핵실험장에서 나온 것들이 지하수를 통해서, 강이나 물줄기를 따라 흘러갈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조 센터장은 풍계리 일대 지역의 지하수 양이 북한 전체의 2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풍부하다며, 지하수를 식수로 쓰는 가구 비율이 상당한 만큼 지역 주민들이 방사성 물질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토론회에선 여섯 차례에 걸쳐 핵실험이 실시된 풍계리 인근 지역의 암반이 이미 약해졌을 가능성과 함께 지반 붕괴나 방사능 유출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북한이 핵실험장으로 화강암 지역을 택한 사실을 언급하며, 부분적으로 단층이나 고온의 지하수 때문에 취약해진 상태일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여섯 차례나 핵실험을 하지 않았습니까? 그럼 암석이 점점 많이 깨지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점점 약해집니다. 6차 핵실험의 위력이 컸기 때문입니다.
북한인권단체인 전환기정의워킹그룹(TJWG)의 이영환 대표는 북한 당국이 인체와 환경에 핵실험이 미치는 영향을 알고도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은 것이라며, 이를 ‘에코사이드’, 즉 자연을 대규모로 파괴하는 행위로 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영환 TJWG 대표: 북한 정부는 문제의 심각성을 알면서도 지역 주민들에게 위험을 고지하거나 대피령을 내리지 않고 실험을 감행했는데 이는 의도적인 범행, 가해 행위라는 점에서 사람뿐 아니라 자연에 대한 ‘에코사이드’ 문제로 다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선거 전에 7차 핵실험을 감행할지 여부를 놓고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기도 했습니다.
이상규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이 핵무기 완성도 검증 등을 위한 기술적 필요와 대미 협상력 확보를 노리고 미국 대선 전에 핵실험을 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북한이 사실상의 핵보유국임을 인정받기 위해 오는 6월 한미 핵협의그룹(NCG) 3차회의와 미국 대선 사이에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입니다.
반면 정성윤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실장은 북한이 7차 핵실험으로 인한 역효과를 감안해 연내에 강행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정 연구실장은 북한이 핵실험을 할 경우 중국과 러시아가 국제사회의 추가 제재에 동조할 가능성이 있고, 특히 중국은 북중 접경지역 피해 우려와 역내 미·일 영향력 강화에 대한 거부감이 큰 만큼 러시아와 의견을 달리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로그인 후 공감을 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