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러시아 방문은 언제? > 최신뉴스

본문 바로가기

자유아시아방송2024-11-22 03:50:00

김정은 러시아 방문은 언제?

social_media



앵커: 한국 정보기관인 국가정보원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러시아 방문 가능성을 제기한 가운데, 한국 전문가들은 미국의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는 내년 김 총비서의 러시아 방문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서울에서 한도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정보기관인 국가정보원은 20일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전체회의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러시아를 방문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았습니다.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지난 4일 러시아 체류 일정을 연장해가면서 휴일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면담한 만큼, “상당히 중요하고 민감한 협의가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러시아는 당초 지난달 29일 크렘린궁 드미트리 페스코프 대변인을 통해 “푸틴 대통령은 최선희 외무상과 만날 계획이 없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21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김정은 총비서의 러시아 방문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방러 시기를 놓고는 북한과 러시아 간 입장 차이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김정은 총비서로서는 북러 간 밀착관계를 토대로 내년 1월 출범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와의 미북대화에 대해 미리 주도권을 잡는다는 전략을 지닐 수 있지만, 러시아 입장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휴전 시기 등을 감안해 내년 하반기를 고려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양 총장은 내년 1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전 김정은 총비서의 방러가 이루어질 가능성은 다소 낮다고 평가했고, 초청국가의 입장을 고려해야 하는 만큼 “김정은 총비서의 방러는 아무리 빠르더라도 내년 상반기쯤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양 총장은 “최 외무상이 귀국 날짜를 늦추어가면서까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면담한 것은 김 총비서의 뜻이 반영된 요구사항이 있다는 것”이라며, 최 외무상이 첨단 군사기술 이전, 에너지 및 경제지원 등을 요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대기권 재진입, 핵추진 잠수함 등 민감한 기술 이전을 북한이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는 일각의 분석에 대해 양 총장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 입장에서는 ‘핵 비확산’과 관련된 부분인 만큼 기술 이전이 이뤄지기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김정은 위원장 입장에서는 국빈 방러가 좀 빨랐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보이고 러시아 입장에서는 대미 관계를 봐가면서 초청했으면 좋겠다, 이렇게 시기를 둘러싸고 조금 입장 차이는 있지 않을까 분석합니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도 2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김 총비서의 방러는 이미 예정된 것이나 마찬가지지만, 그 시기가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조 석좌연구위원은 “러시아로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속하는 데 있어 북한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다소 민감한 상황에서 김정은 총비서의 방러까지 이뤄지는 것은 서방세계를 지나치게 자극한다고 판단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조 석좌연구위원도 러시아로서는 내년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상황을 지켜보며 김정은 총비서의 방러 시기를 저울질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조 석좌연구위원은 김정은 총비서의 방러가 이뤄질 경우 다뤄질 주요 의제에 대해서는 “아직 전쟁 지원의 대가로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무엇을 받았는지 뚜렷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북한이 인민군 현대화를 위한 러시아의 지원을 요청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 미국 바이든 정부와 서방이 주저했던 서방제 무기의 장거리 사용까지 허용한 상황이거든요. 그렇게 좋은 시기는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김정은이 특히 지금 원하는 것은 인민군 현대화예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4일 러시아 모스크바의 크렘린에서 열린 회담에서 최선희 북한 외무장관을 맞이하고 있다. /AP

 
<관련 기사>
국정원 “북한군, 러 공수여단·해병대 배속돼 전투 참여”
태영호 “최선희, 러시아에 파병 대가 요구했을 것”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도 2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올해 김정은 총비서의 러시아 방문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연말인 만큼 북한도 총화(결산)에 집중해야할 시기이며, 특히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참전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는 설명입니다.
 
박 교수는 내년에는 김 총비서의 방러가 이뤄질 수 있으며, 내년 러시아에서 북러 정상회담이 이뤄질 경우 파병의 대가로 북한이 러시아 측에 핵·미사일 관련 기술지원 등 자신들이 원하는 최대치의 요구를 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때 러시아가 민감한 군사기술을 이전할지 여부에 대해 박 교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상황과 관련있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등장 이후에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상당 기간 유지되면, 러시아에게 북한의 중요함도 커지고, 북한이 민감한 군사기술을 이전 받을 가능성도 보다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자신들이 원하는 최대치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추가 병력 파병이라든지 무기체계 지원이라든지 북한에게 받아내야 할 것이 많아질수록 한국이 우려하고 있는 핵과 미사일 관련 기술, 무기체계 이전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보는 게 맞겠죠.
 
김정은 총비서의 러시아 방문이 이른 시간 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문가의 전망도 나왔습니다.
 
정대진 원주 한라대 교수는 2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북한으로서는 내년 1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기 전 북러동맹을 ‘혈맹’ 수준으로 격상시키기를 원할 것”이라며 현재 추가적인 북러 정상회담 개최의 필요성은 러시아보다 북한이 더 느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정 교수는 “러시아로서도 북한군 파병에 대한 보답으로 김 총비서의 방러를 진행하고 북한과의 관계를 다지는 것은 손해보는 일이 아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정 교수는 “김 총비서의 방러는 러시아가 ‘북한’이라는 카드를 쥐고 있다는 것을 미국에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정대진 원주 한라대 교수] 김정은의 위상도 좀 세워주면서 미국과 관계에 있어서 ‘북한’이라고 하는 카드를 우리가 쥐고 있다 는 것을 보여주는 게 손해 보는 일은 아니니까 빠르게는 내년 1월 전까지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죠.
 
정 교수는 내년 1월 전 김 총비서의 방러가 이뤄질 경우에는 북러 정상이 조약서를 상호 교환하는 행사를 진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9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러조약에 서명한 데 이어 11일 김 총비서도 서명을 마쳤고, 양국은 비준서의 교환을 앞두고 있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비준서 교환은 형식적인 것”이며 대사관을 통해서, 혹은 고위급 인사 방문을 통해 교환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한도형 입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편집 김상일




앵커: 한국 정보기관인 국가정보원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러시아 방문 가능성을 제기한 가운데, 한국 전문가들은 미국의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는 내년 김 총비서의 러시아 방문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서울에서 한도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정보기관인 국가정보원은 20일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전체회의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러시아를 방문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았습니다.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지난 4일 러시아 체류 일정을 연장해가면서 휴일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면담한 만큼, “상당히 중요하고 민감한 협의가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러시아는 당초 지난달 29일 크렘린궁 드미트리 페스코프 대변인을 통해 “푸틴 대통령은 최선희 외무상과 만날 계획이 없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21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김정은 총비서의 러시아 방문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방러 시기를 놓고는 북한과 러시아 간 입장 차이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김정은 총비서로서는 북러 간 밀착관계를 토대로 내년 1월 출범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와의 미북대화에 대해 미리 주도권을 잡는다는 전략을 지닐 수 있지만, 러시아 입장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휴전 시기 등을 감안해 내년 하반기를 고려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양 총장은 내년 1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전 김정은 총비서의 방러가 이루어질 가능성은 다소 낮다고 평가했고, 초청국가의 입장을 고려해야 하는 만큼 “김정은 총비서의 방러는 아무리 빠르더라도 내년 상반기쯤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양 총장은 “최 외무상이 귀국 날짜를 늦추어가면서까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면담한 것은 김 총비서의 뜻이 반영된 요구사항이 있다는 것”이라며, 최 외무상이 첨단 군사기술 이전, 에너지 및 경제지원 등을 요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대기권 재진입, 핵추진 잠수함 등 민감한 기술 이전을 북한이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는 일각의 분석에 대해 양 총장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 입장에서는 ‘핵 비확산’과 관련된 부분인 만큼 기술 이전이 이뤄지기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김정은 위원장 입장에서는 국빈 방러가 좀 빨랐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보이고 러시아 입장에서는 대미 관계를 봐가면서 초청했으면 좋겠다, 이렇게 시기를 둘러싸고 조금 입장 차이는 있지 않을까 분석합니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도 2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김 총비서의 방러는 이미 예정된 것이나 마찬가지지만, 그 시기가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조 석좌연구위원은 “러시아로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속하는 데 있어 북한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다소 민감한 상황에서 김정은 총비서의 방러까지 이뤄지는 것은 서방세계를 지나치게 자극한다고 판단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조 석좌연구위원도 러시아로서는 내년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상황을 지켜보며 김정은 총비서의 방러 시기를 저울질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조 석좌연구위원은 김정은 총비서의 방러가 이뤄질 경우 다뤄질 주요 의제에 대해서는 “아직 전쟁 지원의 대가로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무엇을 받았는지 뚜렷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북한이 인민군 현대화를 위한 러시아의 지원을 요청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 미국 바이든 정부와 서방이 주저했던 서방제 무기의 장거리 사용까지 허용한 상황이거든요. 그렇게 좋은 시기는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김정은이 특히 지금 원하는 것은 인민군 현대화예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4일 러시아 모스크바의 크렘린에서 열린 회담에서 최선희 북한 외무장관을 맞이하고 있다. /AP

 
<관련 기사>
국정원 “북한군, 러 공수여단·해병대 배속돼 전투 참여”
태영호 “최선희, 러시아에 파병 대가 요구했을 것”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도 2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올해 김정은 총비서의 러시아 방문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연말인 만큼 북한도 총화(결산)에 집중해야할 시기이며, 특히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참전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는 설명입니다.
 
박 교수는 내년에는 김 총비서의 방러가 이뤄질 수 있으며, 내년 러시아에서 북러 정상회담이 이뤄질 경우 파병의 대가로 북한이 러시아 측에 핵·미사일 관련 기술지원 등 자신들이 원하는 최대치의 요구를 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때 러시아가 민감한 군사기술을 이전할지 여부에 대해 박 교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상황과 관련있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등장 이후에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상당 기간 유지되면, 러시아에게 북한의 중요함도 커지고, 북한이 민감한 군사기술을 이전 받을 가능성도 보다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자신들이 원하는 최대치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추가 병력 파병이라든지 무기체계 지원이라든지 북한에게 받아내야 할 것이 많아질수록 한국이 우려하고 있는 핵과 미사일 관련 기술, 무기체계 이전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보는 게 맞겠죠.
 
김정은 총비서의 러시아 방문이 이른 시간 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문가의 전망도 나왔습니다.
 
정대진 원주 한라대 교수는 2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북한으로서는 내년 1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기 전 북러동맹을 ‘혈맹’ 수준으로 격상시키기를 원할 것”이라며 현재 추가적인 북러 정상회담 개최의 필요성은 러시아보다 북한이 더 느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정 교수는 “러시아로서도 북한군 파병에 대한 보답으로 김 총비서의 방러를 진행하고 북한과의 관계를 다지는 것은 손해보는 일이 아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정 교수는 “김 총비서의 방러는 러시아가 ‘북한’이라는 카드를 쥐고 있다는 것을 미국에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정대진 원주 한라대 교수] 김정은의 위상도 좀 세워주면서 미국과 관계에 있어서 ‘북한’이라고 하는 카드를 우리가 쥐고 있다 는 것을 보여주는 게 손해 보는 일은 아니니까 빠르게는 내년 1월 전까지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죠.
 
정 교수는 내년 1월 전 김 총비서의 방러가 이뤄질 경우에는 북러 정상이 조약서를 상호 교환하는 행사를 진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9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러조약에 서명한 데 이어 11일 김 총비서도 서명을 마쳤고, 양국은 비준서의 교환을 앞두고 있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비준서 교환은 형식적인 것”이며 대사관을 통해서, 혹은 고위급 인사 방문을 통해 교환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한도형 입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편집 김상일


자유아시아방송 제공 및 저작권 소유 | RFA provided and copyrighted -www.rfa.org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로그인 후 공감을 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