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아시아방송2024-07-31 21:58:00
WFP, 북 국가전략계획 4년째 연장... “배분감시 예산 증액”
앵커: 유엔 기구들의 북한 복귀가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은 북한 관련 국가전략계획을 4년째 연장하면서 모니터링, 즉 배분 감시 예산을 증액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 즉 WFP는 이달 초 공개한 문서에서 북한 당국의 요청으로 북한 관련 잠정적 국가전략계획(Interim Country Strategic Plan) 기한을 오는 2025년 12월 31일까지로 연장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당국이 지난 2020년 2월 신형 코로나 유입을 막겠다며 국경을 봉쇄함에 따라 WFP의 국제 직원들이 지난 2021년 3월 북한에서 모두 철수한 이후 북한으로의 복귀가 지연되면서 2021년까지였던 기존 계획을 4년째 연장한 겁니다.
WFP는 2020년부터 식량안보 평가를, 2021년부터 현장 모니터링, 즉 배분 감시를 북한에서 실시할 수 없었으며 북한 외부에 있는 동안 차기 국가전략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북한 당국과 협의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개정된 계획에 따르면 WFP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집행하기로 했던 2억4천7백여 달러에 2025년 집행 분인 3천7백여 달러를 더해 총 2억8천5백여 달러를 대북지원 예산으로 배정했습니다.
특히 변경된 WFP 기준을 고려해 북한 내 배분 감시를 위한 예산을 증액했다고 밝히며 배분 감시 절차 변경과 관련 북한 당국과의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WFP의 국제 직원들이 북한에 복귀해 배분 감시를 할 수 있을 때까지 대북지원 물자 배분을 재개할 수 없을 것이라며 북한사무소 운영이 재개되면 현재 필요를 파악하고 우선 순위를 정하기 위한 평가를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관련 기사>
FAO “대북지원 재개 준비돼”
“북, 영·유아 영양 개선 주장...현실은 오히려 악화 가능성”
이런 가운데 한국을 방문한 신디 맥케인(Cindy McCain) WFP 사무총장은 31일 조태열 한국 외교장관과 면담을 갖고 상호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한국 외교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조태열 장관은 면담에서 한국 정부가 올해 WFP에 대한 정규 재원을 2천만 달러로 4배 이상 증액하고, 쌀 원조 규모를 10만 톤으로 두 배 늘렸으며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등의 인도적 위기 대응을 위한 추가 지원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맥케인 사무총장은 한국이 올해 WFP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 데 대해 사의를 표하며 60년전 WFP의 지원을 받던 한국이 주요 공여국으로 성장한 것을 성공 사례로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맥케인 사무총장은 지난 30일 우원식 한국 국회의장과 만나 신형 코로나 사태로 인해 WFP 북한사무소에 상주하던 직원이 철수하고 사업이 중단된 상황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습니다.
국회의장비서실 보도자료에 따르면 우 의장은 이 자리에서 북한 주민의 인권 개선 차원에서 WFP가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해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했고 맥케인 사무총장은 북한 당국과의 협의 등 사업 재개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답했습니다.
맥케인 사무총장은 지난 24일 브라질에서 열린 ‘세계 식량안보와 영양실태’ 보고서 발표회에서 세계가 오는 2030년까지 기아를 종식하자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 달성 궤도에서 벗어났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매년 지구 상의 모든 사람이 먹기에 충분한 식량이 생산되지만 수억 명이 여전히 굶주리고 있다며 식량 불안 해결을 위해 필요한 자원과 정치적 의지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신디 맥케인 WFP 사무총장: 우리가 함께 협력하고 식량 불안 해결에 필요한 자원과 정치적 의지를 모은다면 이 악순환을 끊고 기아를 영원히 종식시킬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앞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지난 5일 발표한 ‘작황 전망과 식량 상황 보고서’에서 북한을 식량 부족 국가로 분류하고 외부 식량 지원이 필요한 45개국에 포함시킨 바 있습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편집 김상일
앵커: 유엔 기구들의 북한 복귀가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은 북한 관련 국가전략계획을 4년째 연장하면서 모니터링, 즉 배분 감시 예산을 증액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 즉 WFP는 이달 초 공개한 문서에서 북한 당국의 요청으로 북한 관련 잠정적 국가전략계획(Interim Country Strategic Plan) 기한을 오는 2025년 12월 31일까지로 연장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당국이 지난 2020년 2월 신형 코로나 유입을 막겠다며 국경을 봉쇄함에 따라 WFP의 국제 직원들이 지난 2021년 3월 북한에서 모두 철수한 이후 북한으로의 복귀가 지연되면서 2021년까지였던 기존 계획을 4년째 연장한 겁니다.
WFP는 2020년부터 식량안보 평가를, 2021년부터 현장 모니터링, 즉 배분 감시를 북한에서 실시할 수 없었으며 북한 외부에 있는 동안 차기 국가전략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북한 당국과 협의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개정된 계획에 따르면 WFP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집행하기로 했던 2억4천7백여 달러에 2025년 집행 분인 3천7백여 달러를 더해 총 2억8천5백여 달러를 대북지원 예산으로 배정했습니다.
특히 변경된 WFP 기준을 고려해 북한 내 배분 감시를 위한 예산을 증액했다고 밝히며 배분 감시 절차 변경과 관련 북한 당국과의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WFP의 국제 직원들이 북한에 복귀해 배분 감시를 할 수 있을 때까지 대북지원 물자 배분을 재개할 수 없을 것이라며 북한사무소 운영이 재개되면 현재 필요를 파악하고 우선 순위를 정하기 위한 평가를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관련 기사>
FAO “대북지원 재개 준비돼”
“북, 영·유아 영양 개선 주장...현실은 오히려 악화 가능성”
이런 가운데 한국을 방문한 신디 맥케인(Cindy McCain) WFP 사무총장은 31일 조태열 한국 외교장관과 면담을 갖고 상호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한국 외교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조태열 장관은 면담에서 한국 정부가 올해 WFP에 대한 정규 재원을 2천만 달러로 4배 이상 증액하고, 쌀 원조 규모를 10만 톤으로 두 배 늘렸으며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등의 인도적 위기 대응을 위한 추가 지원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맥케인 사무총장은 한국이 올해 WFP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 데 대해 사의를 표하며 60년전 WFP의 지원을 받던 한국이 주요 공여국으로 성장한 것을 성공 사례로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맥케인 사무총장은 지난 30일 우원식 한국 국회의장과 만나 신형 코로나 사태로 인해 WFP 북한사무소에 상주하던 직원이 철수하고 사업이 중단된 상황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습니다.
국회의장비서실 보도자료에 따르면 우 의장은 이 자리에서 북한 주민의 인권 개선 차원에서 WFP가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해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했고 맥케인 사무총장은 북한 당국과의 협의 등 사업 재개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답했습니다.
맥케인 사무총장은 지난 24일 브라질에서 열린 ‘세계 식량안보와 영양실태’ 보고서 발표회에서 세계가 오는 2030년까지 기아를 종식하자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 달성 궤도에서 벗어났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매년 지구 상의 모든 사람이 먹기에 충분한 식량이 생산되지만 수억 명이 여전히 굶주리고 있다며 식량 불안 해결을 위해 필요한 자원과 정치적 의지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신디 맥케인 WFP 사무총장: 우리가 함께 협력하고 식량 불안 해결에 필요한 자원과 정치적 의지를 모은다면 이 악순환을 끊고 기아를 영원히 종식시킬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앞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지난 5일 발표한 ‘작황 전망과 식량 상황 보고서’에서 북한을 식량 부족 국가로 분류하고 외부 식량 지원이 필요한 45개국에 포함시킨 바 있습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편집 김상일
추천해요
0
좋아요
1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로그인 후 공감을 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