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아시아방송2024-07-31 22:15:56
북, 해외파견 노동자에 수해복구 지원금 강제 모금
앵커: 북한 당국이 해외파견 노동자들에게 최근 수해를 입은 특급재해비상지역에 대한 피해복구 지원금을 강제로 모금하고 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당국은 30일 최근 집중호우로 큰물피해를 입은 평안북도와 자강도를 특급재해비상지역으로 정한다는 노동당 정치국 결정서를 채택했습니다. 북한 내부 주민들은 물론 해외 파견 회사들에도 피해복구 지원금을 자발적으로 바치라던 당국이 이날 돌연 강제 모금으로 지시를 바꿨다는 소식입니다.
이와 관련해 자유아시아방송은 앞서 북한 당국이 중국 현지에 파견된 주재원들에게 수해지원금을 거두고 있다는 내용의 소식을 전한 바 있습니다.
<관련기사>
북, 중국 주재원에 “수해 복구 지원금 내라”
압록강 대홍수 “신의주 옥수수밭 완전히 침수”
중국 단동의 한 현지인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7월 31일 “오늘 심양 총영사관 단동지부 영사관에서 수해복구 모금 지시가 하달되었다”면서 “어제까지 자원(자발)적인 원칙에서 수해복구 지원금을 바치라던 당국이 하루 새 강제 모금으로 바꾼 것”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어제(30일) 북-중 압록강 일대에서 발생한 큰물피해 소식이 노동신문을 통해 크게 보도되었다”면서 “북조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수해현장에 나가 주민들을 구조하는 현황을 지휘하는 사진들이 노동신문 1면과 2면을 가득 채운 것을 보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잇따라 단동 회사들에 북조선 신의주와 의주군의 큰물피해 소식이 전해지고 수해복구 지원금을 바칠 데 대한 단위별 긴급회의가 소집되었다”면서 “당국은 김정은의 수해현장 시찰내용을 담은 노동신문을 학습시키는 동시에 자발적으로 복구지원금을 바칠 것을 독려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하지만 대부분의 (중국 파견) 노동자들은 큰물피해를 당한 조국의 현실에 안타까워하면서도 자금지원에는 소극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회의를 통해 일부 노동자들은 자신의 월급에서 10위안(1.3달러)을 바치겠다고 결의하는 반면 30위안(4.15달러)까지 바치겠다는 노동자도 있은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노동자들이 지원사업에 선뜻 나서지 못하는 이유는 한 달 일해도 겨우 300위안(41.5달러)을 받기 어렵기 때문”이라면서 “매달 제기되는 각종 기부금, 지원금으로 월급장부가 텅 비어있다시피한 데다 수해복구는 국가가 나서 해결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인식 차이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 단동시의 또 다른 조선족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같은 날 “북조선 당국이 오늘 중국에 파견한 회사들에 수해복구 모금 지시를 하달했다”면서 “파견 노동자들에게 수해복구 지원금액을 정해 강제로 부과한 것”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어제는 당국이 큰물피해 소식을 전하며 각자 자원하는 마음으로 수해복구 지원금을 바칠 것을 독려했다”면서 “그런데 하루가 지난 오늘 심양 총영사관의 지시로 각 단위(회사)의 노동자들은 1인당 중국돈 200위안(27.68달러)의 수해복구 지원금을 바치게 되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자원적인 수해복구지원금에 노동자들은 당초 1인당 10위안(1.38달러)에서 간부들의 경우 50위안(6.92달러)까지 바치는 분위기였다”면서 “그마저 제대로 나서지 않자 당국은 당이 내놓은 수해복구 결정서를 근거로 노동자 1인당 200위안씩 바치라는 강제모금 지시를 내렸다”고 덧붙였습니다.
노동자 1인당 200위안은 심양 총영사관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당에서 중국에 파견된 모든 회사의 노동력에 부과한 공통된 지원금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면서 “이에 노동자들은 당에서 수해복구 지원금을 지정해 강제로 거두는 것은 너무한 처사라며 비난하고 있다”면서 “3일간의 집중호우가 큰물 피해로 이어진 것은 안타까운 일이지만 그렇다고 얼마 남지 않은 월급을 전부 털어낼 심산이냐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수해복구는 물이 빠진 이후에나 가능하기 때문에 시작되지 않았고 당국은 대피주민에 대한 생활보장을 기본으로 내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재민들은 대부분 수해복구에 의지를 상실한 분위기로 전해졌습니다. 특히 침수지역의 일부 주택은 흔적도 없이 무너져 물살에 쓸려 내려가고 일부 주택은 방안 한가득 감탕(뻘)이 가득찬 상태여서 이를 걷어내고 복구하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전망입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편집 김상일
앵커: 북한 당국이 해외파견 노동자들에게 최근 수해를 입은 특급재해비상지역에 대한 피해복구 지원금을 강제로 모금하고 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당국은 30일 최근 집중호우로 큰물피해를 입은 평안북도와 자강도를 특급재해비상지역으로 정한다는 노동당 정치국 결정서를 채택했습니다. 북한 내부 주민들은 물론 해외 파견 회사들에도 피해복구 지원금을 자발적으로 바치라던 당국이 이날 돌연 강제 모금으로 지시를 바꿨다는 소식입니다.
이와 관련해 자유아시아방송은 앞서 북한 당국이 중국 현지에 파견된 주재원들에게 수해지원금을 거두고 있다는 내용의 소식을 전한 바 있습니다.
<관련기사>
북, 중국 주재원에 “수해 복구 지원금 내라”
압록강 대홍수 “신의주 옥수수밭 완전히 침수”
중국 단동의 한 현지인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7월 31일 “오늘 심양 총영사관 단동지부 영사관에서 수해복구 모금 지시가 하달되었다”면서 “어제까지 자원(자발)적인 원칙에서 수해복구 지원금을 바치라던 당국이 하루 새 강제 모금으로 바꾼 것”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어제(30일) 북-중 압록강 일대에서 발생한 큰물피해 소식이 노동신문을 통해 크게 보도되었다”면서 “북조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수해현장에 나가 주민들을 구조하는 현황을 지휘하는 사진들이 노동신문 1면과 2면을 가득 채운 것을 보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잇따라 단동 회사들에 북조선 신의주와 의주군의 큰물피해 소식이 전해지고 수해복구 지원금을 바칠 데 대한 단위별 긴급회의가 소집되었다”면서 “당국은 김정은의 수해현장 시찰내용을 담은 노동신문을 학습시키는 동시에 자발적으로 복구지원금을 바칠 것을 독려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하지만 대부분의 (중국 파견) 노동자들은 큰물피해를 당한 조국의 현실에 안타까워하면서도 자금지원에는 소극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회의를 통해 일부 노동자들은 자신의 월급에서 10위안(1.3달러)을 바치겠다고 결의하는 반면 30위안(4.15달러)까지 바치겠다는 노동자도 있은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노동자들이 지원사업에 선뜻 나서지 못하는 이유는 한 달 일해도 겨우 300위안(41.5달러)을 받기 어렵기 때문”이라면서 “매달 제기되는 각종 기부금, 지원금으로 월급장부가 텅 비어있다시피한 데다 수해복구는 국가가 나서 해결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인식 차이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 단동시의 또 다른 조선족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같은 날 “북조선 당국이 오늘 중국에 파견한 회사들에 수해복구 모금 지시를 하달했다”면서 “파견 노동자들에게 수해복구 지원금액을 정해 강제로 부과한 것”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어제는 당국이 큰물피해 소식을 전하며 각자 자원하는 마음으로 수해복구 지원금을 바칠 것을 독려했다”면서 “그런데 하루가 지난 오늘 심양 총영사관의 지시로 각 단위(회사)의 노동자들은 1인당 중국돈 200위안(27.68달러)의 수해복구 지원금을 바치게 되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자원적인 수해복구지원금에 노동자들은 당초 1인당 10위안(1.38달러)에서 간부들의 경우 50위안(6.92달러)까지 바치는 분위기였다”면서 “그마저 제대로 나서지 않자 당국은 당이 내놓은 수해복구 결정서를 근거로 노동자 1인당 200위안씩 바치라는 강제모금 지시를 내렸다”고 덧붙였습니다.
노동자 1인당 200위안은 심양 총영사관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당에서 중국에 파견된 모든 회사의 노동력에 부과한 공통된 지원금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면서 “이에 노동자들은 당에서 수해복구 지원금을 지정해 강제로 거두는 것은 너무한 처사라며 비난하고 있다”면서 “3일간의 집중호우가 큰물 피해로 이어진 것은 안타까운 일이지만 그렇다고 얼마 남지 않은 월급을 전부 털어낼 심산이냐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수해복구는 물이 빠진 이후에나 가능하기 때문에 시작되지 않았고 당국은 대피주민에 대한 생활보장을 기본으로 내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재민들은 대부분 수해복구에 의지를 상실한 분위기로 전해졌습니다. 특히 침수지역의 일부 주택은 흔적도 없이 무너져 물살에 쓸려 내려가고 일부 주택은 방안 한가득 감탕(뻘)이 가득찬 상태여서 이를 걷어내고 복구하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전망입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편집 김상일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로그인 후 공감을 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