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아시아방송2024-09-24 03:20:00
일본∙몽골 “북에 유엔결의 이행 촉구 협력”
앵커: 일본과 몽골 양국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이행하도록 북한에 촉구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뜻을 재확인했습니다. 김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오흐나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은 22일 뉴욕에서 만나 회담했습니다.
두 정상은 이 자리에서 방위 장비 이전 협정을 체결하기로 합의한 가운데 북한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일본 지지통신은 보도했습니다.
양국은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이행하도록 촉구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기시다 총리는 회담에서 일본인 납치문제 해결을 위한 몽골 측의 이해와 협력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대표적인 북한의 우호국으로 손꼽히는 몽골은 북한을 둘러싼 국제적 갈등에 대해서는 여전히 단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데이비드 맥스웰 아태전략센터(CAPS) 부대표는 2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공산주의에서 민주주의로 전환한 국가로서, 지속적으로 북한을 향해 목소리를 높이는 몽골의 역할은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데이비드 맥스웰] 몽골은 남과 북의 가교 역할을 해왔습니다. 몽골은 비핵화에 찬성하고 핵 없는 동북아를 찬성하며 공산주의에서 민주주의로 전환한 유일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이같은 행보를 보여온 몽골이 북한에게 유엔 안보리 결의를 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미 연구기관 헤리티지 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 연구원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과 몽골의 관계 강화가 북한의 핵 개발을 막을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브루스 클링너] 지난 수십 년 동안 몽골이 북한과 외부 세계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하겠다고 제안했지만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했기 때문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북한과 몽골이 협력하는 것은 좋지만 몽골이 실제로 북한의 비핵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지는 않습니다.
차히야 엘벡도르지 전 몽골 대통령은 그러나, 지난 7월 자유아시아방송(RFA)을 방문한 자리에서 몽골이 공산주의 국가 출신으로서 북한의 표본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차히야 엘벡도르지] 몽골이 정말 중요한 이유는, 몽골이 공산주의 국가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1990년 이전에는 우리도 유사한 정치 체제를 가지고 있었기에, 세계와 북한에 정치 체제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 몽골은 비핵지대 국가입니다. 핵무기가 없는 상태에서 더 많은 혜택을 볼 수 있으며, 핵무기가 있는 것보다 없는 것이 낫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관련기사>
‘외교적 위축’ 북, 몽골 등 우방과 관계강화 나서
전 몽골 대통령 “몽골은 대북 협상 걸맞는 중립적 장소”
한편 지난 2월 쿠바와 한국이 수교를 맺은 이후, 북한은 이를 의식하듯 바로 다음 달인 3월 북한 외무성 대표단을 몽골에 보내 우방국 관계 강화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당시 북한 전문가들은 외교적으로 위축돼 있는 북한이 몽골을 비롯한 전통적인 우방국가들을 중심으로 최대한 관계를 더 강화하는 쪽으로 가고 있다고 분석한 바 있습니다.
이후 후렐수흐 대통령은 축전을 통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몽골에 초청하며 “두 나라 인민 사이의 친선과 우의를 두터이 하고, 전통적인 친선 관계의 새로운 75년 역사의 장을 펼치자”는 뜻을 전했지만 아직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몽골 정상 간 회담이 성사된 적은 없습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편집 한덕인
앵커: 일본과 몽골 양국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이행하도록 북한에 촉구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뜻을 재확인했습니다. 김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오흐나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은 22일 뉴욕에서 만나 회담했습니다.
두 정상은 이 자리에서 방위 장비 이전 협정을 체결하기로 합의한 가운데 북한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일본 지지통신은 보도했습니다.
양국은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이행하도록 촉구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기시다 총리는 회담에서 일본인 납치문제 해결을 위한 몽골 측의 이해와 협력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대표적인 북한의 우호국으로 손꼽히는 몽골은 북한을 둘러싼 국제적 갈등에 대해서는 여전히 단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데이비드 맥스웰 아태전략센터(CAPS) 부대표는 2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공산주의에서 민주주의로 전환한 국가로서, 지속적으로 북한을 향해 목소리를 높이는 몽골의 역할은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데이비드 맥스웰] 몽골은 남과 북의 가교 역할을 해왔습니다. 몽골은 비핵화에 찬성하고 핵 없는 동북아를 찬성하며 공산주의에서 민주주의로 전환한 유일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이같은 행보를 보여온 몽골이 북한에게 유엔 안보리 결의를 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미 연구기관 헤리티지 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 연구원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과 몽골의 관계 강화가 북한의 핵 개발을 막을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브루스 클링너] 지난 수십 년 동안 몽골이 북한과 외부 세계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하겠다고 제안했지만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했기 때문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북한과 몽골이 협력하는 것은 좋지만 몽골이 실제로 북한의 비핵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지는 않습니다.
차히야 엘벡도르지 전 몽골 대통령은 그러나, 지난 7월 자유아시아방송(RFA)을 방문한 자리에서 몽골이 공산주의 국가 출신으로서 북한의 표본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차히야 엘벡도르지] 몽골이 정말 중요한 이유는, 몽골이 공산주의 국가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1990년 이전에는 우리도 유사한 정치 체제를 가지고 있었기에, 세계와 북한에 정치 체제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 몽골은 비핵지대 국가입니다. 핵무기가 없는 상태에서 더 많은 혜택을 볼 수 있으며, 핵무기가 있는 것보다 없는 것이 낫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관련기사>
‘외교적 위축’ 북, 몽골 등 우방과 관계강화 나서
전 몽골 대통령 “몽골은 대북 협상 걸맞는 중립적 장소”
한편 지난 2월 쿠바와 한국이 수교를 맺은 이후, 북한은 이를 의식하듯 바로 다음 달인 3월 북한 외무성 대표단을 몽골에 보내 우방국 관계 강화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당시 북한 전문가들은 외교적으로 위축돼 있는 북한이 몽골을 비롯한 전통적인 우방국가들을 중심으로 최대한 관계를 더 강화하는 쪽으로 가고 있다고 분석한 바 있습니다.
이후 후렐수흐 대통령은 축전을 통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몽골에 초청하며 “두 나라 인민 사이의 친선과 우의를 두터이 하고, 전통적인 친선 관계의 새로운 75년 역사의 장을 펼치자”는 뜻을 전했지만 아직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몽골 정상 간 회담이 성사된 적은 없습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편집 한덕인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로그인 후 공감을 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